보험수리 및 일반수리 가능

고객센터
INFORMATION

공지사항

사고 발생시 대응 요령~~~
by KDC일산지사 | Date 2010-11-26 15:02:22 hit 2,079
1. 어떠한 경우에도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하라.
당황하면 사기단의 의도대로 사고가 처리되어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
침착하게 사고 발생 경위를 파악하고, 현장보존, 목격자확보 및 경찰, 보험사 등에 도움을 요청하는 합리적인 사고처리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2. 사고 발생 시 보험회사에 연락하라.
보험회사에 사고접수를 함으로써 뺑소니를 주장하는 보험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보험회사를 통하면 현장 합의 등의 직접처리 보다 적은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조사과정에서 사기단의 보험사기 이력이 확인될 수 있다.
3. 사고현장의 증거 보존을 위한 사진을 촬영하라.
사기단은 일당이나 사전에 공모한 목격자를 내세워 운전자의 과실을 부각 시킨다.
차량의 이동경로, 사고현장, 충돌부위 등을 분석하면 보험사기 입증이 가능하다.
4. 사고에 대한 목격자와 상대차량 탑승자 등을 정확히 확인하라.
사기단은 유리한 진술 확보를 위해 목격자를 추가 또는 교체 하거나 사고차량의 탑승자를 추가 하거나 교체하여 사고를 확대하려 한다.
5. 사고현장에서 합의 할 경우, 반드시 합의서 등 증거자료를 작성하라.
보험회사에 사고접수가 불가하여, 불가피하게 사고 현장에서 합의를 하는 경우, 뺑소니로 몰리지 않도록 현장에서 합의서 등을 작성하라. (합의금액, 장소, 시간, 합의금의 보상범위 등을 명기하고, 자필서명을 받을 것)
6. 사고에 대한 과실을 상대방의 주장대로 인정하지 말 것.
사기단은 교통법규와 관련된 지식을 이용, 사고에 대한 과실이 100% 운전자에게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인정하도록 유도한다.
면허증, 등록증 등을 요구 하거나 과실은 인정하는 확인서 작성 등을 강요하면 거절하고, 경찰이나 보험사에 연락한다.
7. 특정 병원으로 가기를 고집한다면 의심해야 한다.
사기단은 사전에 공모한 병원을 이용하여 치료비를 과장 하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라.
가급적 병원은 보험회사 지정 병원이나 제 3의 병원을 이용한다.